폐렴구균 예방접종 때문에 검색을 해보니 20가와 23가 이렇게 먼저 보이니깐 차이점이 궁금해졌지? 그래서 오늘은 폐렴구균 23가 vs 20가 차이를 보고 내 연령 때 무엇을 맞아야 하는지 확인해보자!
폐렴구균 23가 vs 20가 요약 정리
| 구분 | 내용 | 비고 |
|---|---|---|
| 혈청형 | PPSV23 23종 커버 · PCV20 20종 커버 | 공통 다수·각각만 포함된 혈청형 있음 |
| 백신 종류 | PPSV23 다당백신 · PCV20 단백접합백신 | PCV는 T세포 의존 기억형성 |
| 전략 | 성인은 PCV20 단독 1회 또는 PCV15→PPSV23 조합이 표준 옵션 | 기접종력에 따라 달라짐 |
| 한국 NIP | 만 65세 이상 PPSV23 1회 무료 지원 | 보건소·위탁기관 |
폐렴구균 대상별 권장 참고하기
| 대상 | 권장 | 비고 |
|---|---|---|
| 성인 65세 이상 | PCV20 1회 또는 PCV15→PPSV23 | 우리나라는 NIP로 PPSV23 무료 1회 제공 |
| 19~64세 위험인자 | 동일 전략 적용 | 만성질환·면역저하·무비증 등 |
| 과거 PCV13 접종자 | 추가로 PCV20 1회 또는 PPSV23 | 간격 규칙 아래 참조 |
빠른 판단 간단히 끝내려면 PCV20 단독 1회가 편하고 · 특정 고위험에서는 PCV15→PPSV23으로 혈청형 폭을 늘리기도 해!
폐렴구균 접종 간격 확인하기
- 미접종 성인 PCV20 1회 또는 PCV15 투여 후 1년 뒤 PPSV23 권장 · 면역저하 등 고위험은 최소 8주 간격 고려
- PCV13만 맞은 성인 이후 PCV20 1회 또는 PPSV23 1회로 보완
- PPSV23 재접종은 일부 고위험군에서 최소 5년 간격으로 논의
세부 간격·조합은 개인 병력에 따라 달라지므로 의료진과 일정 확정하자!
우리나라 NIP 및 비용 정보
| 항목 | 내용 | 비고 |
|---|---|---|
| 대상 | 만 65세 이상 어르신 | 과거 65세 이후 접종 이력 있으면 추가 불필요 |
| 지원 백신 | PPSV23 1회 비용 지원 | 보건소·위탁의료기관 |
| 소아 | PCV15/20 국가예방접종 시행 | 성인은 의료기관 상담 |
팁 직장·지자체에 따라 PCV20 추가 지원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어 사전 문의가 좋아!
FAQ
| 질문 | 답변 |
|---|---|
| 23가가 혈청형이 더 많은데 무조건 좋은 거야? | 혈청형 수만 보지 말고 백신 종류도 보자 · PCV20은 면역기억을 형성하는 접합백신이라 단독 1회 전략이 가능해 |
| 둘 다 맞아야 해? | 대부분은 PCV20 1회로 간단히 끝낼 수 있어 · 다만 고위험군·의료진 판단에 따라 PCV15→PPSV23을 쓰기도 해 |
| 간격은 어떻게 잡아? | PCV15 후 PPSV23은 통상 1년 · 면역저하는 8주 이상 · 세부는 병력 기준으로 결정해 |
| 부작용은? | 주사부위 통증·미열·피로가 흔하고 대부분 경미해 · 중증 알레르기는 드물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