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담소담
다양한 주제 관련해서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정리하고 알려주는 한번 들어오면 빠져 나갈 수 없는 지식UP 블로그 입니다.

헷갈림 제로 내일채움공제 조건 3가지 유형별 만기 예시 표로 깔끔 정리

짜다 뭐가? 내 월급이! 월급만 모으기엔 한계지? 그래서 내일채움공제 조건 신청 금액을 2025년 기준으로 정리했고 3년형부터 청년재직자 플러스까지 뭐가 다른지 바로 비교하자!
헷갈림 제로 내일채움공제 조건 3가지 유형별 만기 예시 표로 깔끔 정리

짜다 뭐가? 내 월급이! 월급만 모으기엔 한계지? 그래서 내일채움공제 조건 신청 금액을 2025년 기준으로 정리했고 3년형부터 청년재직자 플러스까지 뭐가 다른지 바로 비교하자!

내일채움공제 요약(핵심부터 정리해서 보자)

유형가입 주체기간/구조만기 예시
내일채움공제(핵심인력)근로자+기업(공동 적립)3~10년 선택(1년 단위 연장)월 34만~300만원 범위 내 설계(기업 2배 이상 원칙)
청년재직자 플러스청년+기업+정부3년(분할 적립)청년 600 + 기업 600 + 정부 600 = 1,800만원+이자
청년내일채움공제청년+기업(+정부)2년(신규 모집 변동, 기존자 운영)청년 400 + 기업 400 + 정부 400 = 1,200만원+이자

* 실제 인정·모집 여부는 공단 공고 및 각 연도 지침에 따름!

내일채움공제 가입 조건(핵심인력)

  • 기업 요건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일부 업종 제외)·종업원 1인 이상 사업장
  • 근로자 요건 해당 기업의 정규직 핵심인력 지정(사업주가 장기재직 필요 인력으로 지정)
  • 가입 기간 최소 3년~최대 10년(1년 단위 연장 가능, 단축 불가)
  • 납입 구조 근로자+기업 공동 적립, 월 최소 34만원~최대 300만원 범위 설계(기업이 근로자 납입의 2배 이상 부담이 원칙)
  • 제외 주점·갬블링 등 일부 업종, 기간제·단시간 근로 등은 원칙적으로 제외 안내(예외·세부는 지침 확인)
TIP 납입일은 보통 5·15·25일 중 선택, 급여일과 분리하면 미납 위험↓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플러스 가입 조건

구분조건/구조비고
청년 요건만 15~34세 정규직 청년, 통상 6개월 이상 재직 기업 동의 필수군복무 연동 상한 39세
적립 구조청년 600만(3년), 기업 600만(3년), 정부 600만(6회 분할)만기 시 1,800만+이자
납입월 자동이체(5/15/25일), 1년차 14만·2~3년차 18만(청년/기업 동일)정부는 6회 분할 적립

청년내일채움공제 참여 조건(2년)

  • 청년 요건 만 15~34세, 5인 이상 50인 미만 제조·건설업 중소기업 정규직, 월 300만원 이하
  • 기업 요건 상기 규모·업종 충족(일부 제외 업종 있음)
  • 적립 구조 청년 400만 + 기업 400만 + 정부 400만 = 2년 후 1,200만원+이자
  • 모집 신규 모집 변동·일몰 공지 등은 연도별 확인(기존 가입자는 약정에 따라 운영)

내일채움공제 유형별 납입과 만기 비교

유형근로자 납입기업 부담정부기간만기 수령 예시
핵심인력(일반)월 10만~근로자 ≥2배-3~10년설계에 따라 상이(복리 이자)
청년재직자 플러스총 600만총 600만총 600만3년1,800만+이자
청년내일채움공제총 400만총 400만총 400만2년1,200만+이자

* 금액·모집 여부는 유형·연도별 지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내일채움공제 신청 방법

  1. 기업·근로자 협의 유형·기간·월 납입 설계(근로자/기업 비율 합의)
  2. 홈페이지 회원가입 기업·근로자 모두 공제 누리집 가입
  3. 전자청약 사업자등록증·4대보험 정보 확인 후 전자서명
  4. 자동이체 등록 납입일(5·15·25일)·계좌 지정
  5. 적립·유지 미납 발생 시 3회 자동청구·미납관리에서 납부
  6. 만기수령 조건 충족 시 근로자에게 성과보상금 일시 지급

내일채움공제 반려(주의 사례)

  • 업종·규모 부적합 제외 업종 또는 중소·중견기업 범위 밖
  • 고용형태 불일치 정규직 요건 미충족(기간제·단시간 등)
  • 미납·연체 자동이체 3회 실패 후 미납 방치(6회 이상 미납 시 중도해지 사유)
  • 지침 미확인 청년형의 모집 일몰·변동 미확인
체크 기업·근로자 자격→유형 선택→납입일·금액 설정→미납관리만 잘하면 끝

FAQ

질문답변
정규직이 아니어도 가입할 수 있어?원칙적으로 정규직 핵심인력 대상이야(기간제·단시간은 제한 안내) 기업·지침별 예외는 공고 확인
회사 못 옮기고 3년을 버텨야 해?유형별로 동일 기업 장기재직을 전제로 혜택을 설계했어 이동·중도해지 시 환급·감면 불이익 가능
월 얼마부터 넣어야 해?핵심인력형은 월 최소 34만~최대 300만원 범위에서 설계(기업이 근로자 ≥2배 부담 원칙)
정부지원이 붙는 건 어떤 유형이야?청년재직자 플러스(3년)·청년내일채움공제(2년)에 정부 적립이 포함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