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쁘다 바뻐 연말! 기간 다 되서 몰아넣기 전에 IRP 세액공제 한도랑 IRP 연말정산 흐름을 깔끔하게 정리했고 한도와 공제율 및 증빙만 챙기면 환급 체감이 확 달라지니깐 꼼꼼하게 보고 연말정산 환급 받도록 하자!
IRP 세액공제 한도(시간이 없다면 요약이라도 챙겨봐)
| 항목 | 내용 | 비고 |
|---|---|---|
| 세액공제 대상 한도 | 연금저축 600만원 + (연금저축+IRP) 합산 900만원 | 한도 내에서만 세액공제 |
| 세액공제율 | 총급여 5,500만원 이하 15%(지방세 포함 16.5%), 초과 12%(지방세 포함 13.2%) | 소득구간별 차등 |
| 계좌 납입 한도 | 연금저축·IRP 각각 연 1,800만원 입금 가능 | 세액공제는 여전히 900만원 한도 |
| ISA→연금계좌 전환 | 만기금 전환액의 10%, 최대 300만원 추가 세액공제 | 전환한 해 1회 적용 |
* 법 및 지침 변경 가능: 최신 국세청·기재부 공지 확인 권장! (혹시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니 이중 체크)
IRP 세액공제 연말정산 절차
- 납입 완료 해당 과세연도(1~12월) IRP/연금저축 납입 정리
- 자료 수집 금융사가 연말정산 간소화로 납입자료 전송(1월)
- 홈택스 확인 간소화에서 개인연금저축/연금계좌 내역 체크
- 회사 제출 자료 일괄제공 동의 또는 간소화PDF 제출(회사 안내 절차)
- 정산·환급 회사가 연말정산 반영 → 2~3월 급여에 환급/추가납부 반영
TIP 간소화에 누락되면 금융사 납입증명서를 직접 발급 제출하면 돼!
IRP 세액공제 서류 증빙(필요 시 놓치지 말고 챙기자)
| 서류 | 용도 | 확인 포인트 |
|---|---|---|
| 연금계좌 납입증명서 | 간소화 누락 시 대체 증빙 | 계좌(연금저축/IRP)·납입기간·총액 |
| 간소화 자료(PDF) | 회사 일괄제공 미참여 시 제출 | 항목: 개인연금저축/연금계좌 내역 |
| ISA 전환 확인서 | ISA→연금계좌 전환 추가공제 | 전환일·금액·계좌번호 |
* 회사별 제출 방식(일괄제공/개별제출)은 인사 및 총무 공지 따르기!
IRP 세액공제 계산 (예시 참고해서 나의 연말정산에 대입하자)
| 상황 | 납입 | 공제율 | 예상 세액공제액 |
|---|---|---|---|
| 한도 풀 활용(저소득구간) | 연금저축 600 + IRP 300 = 900만원 | 16.5% | 약 148.5만원 |
| IRP만 납입(고소득구간) | IRP 900만원 | 13.2% | 약 118.8만원 |
| ISA 전환 추가 | 전환액 300만원(한도) | 10% | 최대 30만원 추가 |
* 실제 환급은 근로소득세액공제 한도와 다른 공제와 합산해 달라질 수 있어!
IRP 세액공제 전략 팁(몰랐다면 도움이 될거야!)
- 분산 납입 1~12월 자동이체로 관리하면 연말 몰아치기 실수↓
- 900만원 배분 보통 연금저축 600 + IRP 300이 수수료·상품폭 측면에서 효율적
- 초과 납입 처리 전년도 초과분은 전환특례로 해당연도 납입으로 전환 신청 가능
- 수령 전략 장래 연금수령액은 연 1,500만원 이내 분산 수령을 고려(과세구간 관리)
IRP 세액공제 반려(주의 사례)
- 기간 오류 타 연도 납입분 제출, 납입일자·합계 금액 불일치
- 항목 선택 실수 간소화에서 개인연금저축/연금계좌 항목 누락
- ISA 전환 증빙 누락 전환 확인서 미첨부로 추가공제 누락
체크 간소화 확인 → 누락시 납입증명서 보완 → 900 한도 및 공제율 적용 끝
FAQ
| 질문 | 답변 |
|---|---|
| IRP 한도만 채우면 연금저축은 안 해도 돼? | 가능하지만 보통은 연금저축 600을 먼저 채우고 남은 300을 IRP로 채워 상품 선택 폭·수수료 측면에서 유리한 편이야 |
| 연말 직전에 일시납으로 넣어도 공제돼? | 해당 연도 입금·집계만 맞으면 공제 대상이야 다만 분산 납입이 관리에 유리해 |
| 퇴직금 이체한 금액도 공제돼? | 퇴직급여 이체분은 세액공제 대상 아님 개인 추가납입만 공제 대상이야 |
| 연금 수령 때 세금은 어떻게 돼? | 요건 충족 시 연금소득세(3.3~5.5%) 적용되고, 연 1,500만원 초과 시 종합/분리과세 선택 가능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