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EDI 로그인 사용법과 이용하게 될 국민연금 EDI 신고까지 정리
처음이면 뭐부터 눌러야 할지 막막하지? 국민연금 EDI는 회원가입 없이 공동·금융인증으로 로그인해 바로 신고할 수 있어! 오늘은 그래서 첫 로그인·신고·마감 체크까지 핵심만 깔끔히 모았으니깐 처음 한다고 해서 어려워 하지 말자!

3060life0 mins read
처음이면 뭐부터 눌러야 할지 막막하지? 국민연금 EDI는 회원가입 없이 공동·금융인증으로 로그인해 바로 신고할 수 있어! 오늘은 그래서 첫 로그인·신고·마감 체크까지 핵심만 깔끔히 모았으니깐 처음 한다고 해서 어려워 하지 말자!
국민연금 EDI 관련 (요약 정리)
포인트 | 내용 | 비고 |
로그인 |
회원가입 없이 약관 동의 후 공동·금융인증으로 로그인 |
사업장관리번호 준비 |
환경 |
처음엔 보안 S/W 설치·팝업 허용 필요 |
홈의 S/W 설치 메뉴 |
자주 쓰는 메뉴 |
취득/상실 신고·결정내역 조회·고지서 출력·증명서 진위확인 |
월간일정 참고 |
문의 |
EDI 전용 상담 063-713-6565 / 국민연금 1355 |
평일 09–18시 |
국민연금 EDI 첫 로그인 '준비물'
준비물 | 설명 | 비고 |
사업장관리번호 |
사업장 로그인 키로 사용 |
모르면 사업장 관리번호 찾기 메뉴 |
인증서 |
공동인증 또는 금융인증 중 택1 |
대표자/담당자 명의 권장 |
PC 환경 |
보안프로그램 설치·팝업 허용 |
처음 1회 설정 |
국민연금 EDI 첫 로그인 '절차'
- 접속 EDI 홈페이지에서 이용약관 동의 후 공동/금융인증 선택
- 사업장관리번호 입력 후 인증서로 로그인
- 보안 S/W 자동 설치 안내에 따라 설치·재접속
- 메뉴 확인 좌측에서 취득/상실 신고·결정내역·증명 주요 메뉴 즐겨찾기
4대보험 공통신고는 다른 기관에서 처리돼도 연계되지만, 국민연금 고유 업무(소득총액신고 등)는 별도 신고가 필요해
국민연금 EDI 자주 하는 신고
업무 | 언제 | 어떻게 |
자격취득(입사) |
입사한 달의 다음달 15일까지 |
취득일·기준소득월액 입력 납부희망(입사일이 2일 이후면 선택) |
자격상실(퇴사) |
퇴직일 다음날 상실 처리 |
상실월 보험료 납부분 포함 여부 확인 |
내용정정 |
착오 신고 시 즉시 |
정정신고서 + 입증서류 업로드/지사 팩스 |
납부예외·재개 |
휴직·복직 시 |
사유·기간 입력 증빙 첨부, 2일 이후 복직 땐 납부희망 체크 |
결정내역 확인과 고지서 및 납부
- 결정내역 국민연금보험료 결정내역 메뉴에서 최근 통보서 확인·다운
- 고지서 고지서/통합저장 파일 출력
- 납부 인터넷지로 등에서 전자납부번호로 납부
- 재송부 1년 이내 자료는 재송부 가능
오류 반송 해결방법
상황 | 의미 | 대응 |
수신함 상태가 ‘오류’ |
정상처리 안 됨 |
관할지사 확인 필요 증빙은 지사 팩스 전송 후 처리 |
인증서 인식 실패 |
보안모듈·브라우저 이슈 |
S/W 재설치·브라우저 재시작·인증서 경로 확인 |
권한 문제 |
사업장번호/담당자 권한 미연계 |
담당 지사 통해 사용자 권한 확인 |
막히면 EDI 전용 상담 063-713-6565 또는 1355로 문의
마감 기한 확인
- 취득/상실 신고 사유 발생 달의 다음달 15일까지
- 결정내역 발송 월별 공단 공지 시간 확인
- 월간일정 홈의 월간일정 메뉴에서 마감 체크
FAQ
질문 | 답변 |
회원가입 없이 바로 쓸 수 있나요? | 가능해 약관 동의 후 공동/금융인증으로 로그인하면 바로 신고 가능 |
간편인증 앱으로도 되나요? | 화면에 제공되는 금융인증·공동인증 수단만 지원돼 제공 항목 중에서 선택하면 돼 |
근로자 1명만 있어도 사업장 적용 대상인가요? | 응 근로자 1명 이상을 사용하면 당연적용 사업장이야 |
입사일이 2일 이후면 취득월 보험료는 어떻게 하나요? | 납부희망/미희망 선택란이 있어 회사 정책에 맞춰 선택 |
취득/상실을 한 곳에서 신고하면 다른 4대보험도 처리되나요? | 공통신고는 연계 처리되지만, 국민연금 소득총액신고 같은 고유업무는 별도로 해야 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