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담소담
가볍게 지식 관련 습득할 수 있는 여러분의 모든 정보 블로그 입니다.

증여세 면제 한도액과 세율별 누진공제 특례 예외까지 총정리

증여세 면제 한도액, 정확히 얼마까지 0원인지 헷갈리지? 답은 10년 누계 기준의 증여재산공제야 배우자 6억·직계 5천만(미성년 2천) 등 핵심만 표로 딱 정리 했으니깐 천천히 보고 정리해보자!
증여세 면제 한도액과 세율별 누진공제 특례 예외까지 총정리

증여세 면제 한도액, 정확히 얼마까지 0원인지 헷갈리지? 답은 10년 누계 기준증여재산공제야 배우자 6억·직계 5천만(미성년 2천) 등 핵심만 표로 딱 정리 했으니깐 천천히 보고 정리해보자!

증여세 면제 한도액 (핵심 내용 요약부터 보기)

구분내용비고
관계별 공제 배우자 6억 · 직계 5천만(미성년자에게서 받는 건 2천만) · 기타친족 1천만 10년 누계 한도
10년 룰 동일인 기준 증여일 전 10년 내 공제 사용분과 합산 같은 날 여러 건은 안분, 다른 날은 순차 공제
신고 기한 증여 월 말일부터 3개월 이내 신고·납부 기한 내 신고세액공제
세율 과세표준 10%~50% 5단계 누진, 누진공제 적용 공제 후 과세표준 계산

* 금액·요건은 법 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최신 국세청 안내 확인 권장

증여재산공제 한도표 (관계별)

증여자와의 관계면제 한도액(10년 누계)비고
배우자6억원사실혼 제외(혼인신고 요건)
직계존속(부모·조부모 등)5천만원수증자가 미성년이면 2천만원
직계비속(자녀·손자녀 등)5천만원세대생략 증여는 할증과세 유의
기타 친족(6촌 혈족·4촌 인척)1천만원10년 누계 공제
그 외의 자(친족 외)0원비거주자 수증자는 공제 불가

증여세 10년 합산 규칙

  • 동일인 기준 증여일 전 10년 내 받은 금액을 합산해 공제·과세 계산(직계존속의 경우 그 배우자 포함)
  • 동시·순차 공제 같은 날 여러 건이면 공제를 안분, 다른 날이면 최초 증여부터 순차로 공제
  • 연령 기준 공제액은 증여 시점의 수증자 연령으로 판단(미성년 공제 2천만 등)
  • 세대생략 부모를 건너뛰어 손주에게 주면 할증과세 가능

증여세 신고 기한과 가산세 (항목별로 보기)

항목내용
신고기한증여받은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홈택스 전자신고 가능
신고세액공제기한 내 성실 신고 시 3% 공제(‘19년 이후)가산세 대비 이득
가산세무신고·과소신고·납부지연 시 가산세계좌이체·등기 등 증빙 보관

증여세 세율별 누진공제 (쉽게 보기 참고 요약)

과세표준 구간세율누진공제액
1억원 이하10%-
5억원 이하20%1천만원
10억원 이하30%6천만원
30억원 이하40%1억6천만원
30억원 초과50%4억6천만원

특례 예외 (요건 충족시)

  • 창업자금 특례 요건 충족 시 5억원 추가 공제·세율 10%(한도·사후관리 엄격)
  • 가업승계 주식 특례 요건 충족 시 특례세율 10%(30억원 초과분 20%)
  • 의례의 증여 통상적 범위의 축의금·혼수 등은 과세 제외(과다·사치 재화는 과세)
  • 장애인 신탁 요건 충족 시 5억원 한도 과세가액 불산입

* 특례는 모두 엄격한 요건서류 필요 중복 적용 제한 주의

증여세 면제 한도 (상황별 사례 보기)

상황적용 공제결과
배우자에게 6억원 증여배우자 공제 6억원과세 0 가능(10년 누계 내)
성년 자녀에게 5천만원직계존속→직계비속 공제 5천만원과세 0 가능
미성년 자녀에게 3천만원공제 2천만원잔여 1천만원 과세 대상
부모 각각 5천만원씩부·모 각각 공제 한도 내 판단증빙·자금출처 분리 필수
사례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야 실제 결과는 10년 합산·증빙·세대생략 할증·특례 적용 여부 등 변수에 따라 달라져

FAQ

질문답변
부부는 서로 6억원씩 주고받아도 돼?가능해 각자 10년간 6억원 공제 범위 내에선 과세 없음 단, 사실혼은 제외
부모와 조부모에게 동시에 받으면 공제는 어떻게 써?같은 날이면 공제를 안분해 각각 적용, 다른 날이면 먼저 받은 증여부터 순차 공제
축의금은 증여세 내야 해?통상적 범위의 축의금·혼수 등은 과세 제외지만 고액·사치 재화는 과세될 수 있어
언제까지 신고해야 해?증여받은 달의 말일부터 3개월 내 신고·납부해야 가산세를 피할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