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담소담
가볍게 지식 관련 습득할 수 있는 여러분의 모든 정보 블로그 입니다.

2025년 주거급여 신청자격 조건과 금액 확인 후 나도 해당 되는지 체크

2025년 주거급여 관련해서 궁금한 것이 있다면 지금 딱! 60초만 집중해서 주거급여 신청자격·금액·조건을 확인하고 나도 해당이 될 수 있는지 한번 체크해보자!
2025년 주거급여 신청자격 조건과 금액 확인 후 나도 해당 되는지 체크

2025년 주거급여 관련해서 궁금한 것이 있다면 지금 딱! 60초만 집중해서 주거급여 신청자격·금액·조건을 확인하고 나도 해당이 될 수 있는지 한번 체크해보자!

주거급여 신청자격 핵심 (시간이 없다면 요약이라도 체크해봐)

항목내용비고
소득 기준가구 소득인정액기준중위소득 48% 이하부양의무자 무관
임차급여가구원수·지역별 기준임대료 상한 내에서 지원실제임차료와 비교해 낮은 값 기준
자가(수선유지)주택 노후도에 따라 경·중·대보수 비용 지원2025: 590/1,095/1,601만원

※ 실제 급여액은 소득인정액·임대료·지역 급지·가구원수에 따라 달라져!

2025년 주거급쳐 신청자격 (누가 받을 수 있어?)

항목내용정보
소득소득평가액+재산의 소득환산액 = 소득인정액중위 48% 이하가구원수별 기준표 확인
가구 기준(2025)1인 1,148,166 · 2인 1,887,676 · 3인 2,412,169 · 4인 2,926,931 · 5인 3,411,932 · 6인 3,871,106원월 기준(원)
부양의무자무관 — 신청가구의 소득·재산만 반영부모·자녀 소득 미반영(별가구)
주거형태임차가구 또는 자가가구 모두 가능보장시설·무료거주는 제외
자가진단: 가구원수·소득인정액만 알면 1차 판별 끝! 마이홈 자가진단으로 빠르게 확인해봐!

주거급여 금액 및 산정(얼마나 나올까?)

구분서울(1급지)경기·인천(2급지)광역·세종·수도권 외 특례시(3급지)그 외(4급지)
1인가구352,000281,000228,000191,000
2인가구395,000314,000254,000215,000
3인가구470,000375,000302,000256,000
4인가구545,000433,000351,000297,000
5인가구564,000448,000363,000307,000
6인가구667,000531,000428,000363,000
  • 실제임차료 = 월세 + (보증금 × 4% ÷ 12)
  • 산정기초 = 실제임차료와 기준임대료 중 낮은 금액
  • 지급액 = 산정기초 − 본인부담분(소득구간에 따라 차등)
예시: 보증금 1,000만원·월세 30만원(서울 1인가구): 실제임차료 30만 + (1,000만×4%÷12=13.3만) ≈ 43.3만원 → 기준임대료 35.2만원과 비교해 35.2만원이 산정기초
자가 수선유지급여금액주기
경보수590만원3년
중보수1,095만원5년
대보수1,601만원7년

2025년 주거급여 신청 및 서류(무엇이 필요할까?)

항목내용
신청장소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복지로(온라인)대리·직권 신청 가능(위임장)
필수서류신청서·소득/재산 신고서·금융정보제공동의서·임대차계약서·신분증·통장사본추가 증빙 요구될 수 있음
처리 절차신청→소득·재산 조사(시군구)→주택조사(LH)→보장결정→급여지급결정 통지 후 익월부터 적용 사례 多
팁: 공공임대 거주자도 가능하고 임대료 납부증빙을 챙겨가면 처리 빨라!

체크리스트

  • 가구원수·소득인정액 파악 → 48% 기준 비교
  • 전월세 보증금·월세 확인 → 4% 월환산 계산
  • 거주지 급지(서울/경기·인천/광역·세종/그 외) 확인
  • 임대차계약서·통장사본·신분증 등 서류 준비
  • 온라인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로 접수

주의사항

주의설명대응
보증금 과대보증금이 크면 4% 월환산으로 실제임차료↑ → 기준임대료 초과 위험계약 전 월환산으로 유불리 계산
무료거주무상거주(친인척 집 등)·보장시설은 급여 제외될 수 있음임대차 계약·사용대차 증빙 필요
이사/전입주소·임대차 변경 시 즉시 신고급지·가구원 변동 반영

FAQ

질문답변
부양의무자 기준 있어?없어. 신청가구의 소득·재산만 본다
전세도 지원돼?돼. 전세 보증금은 연 4% 월환산으로 계산해 실제임차료를 산정해
공공임대 거주 중인데 가능해?가능. 다만 실제임차료기준임대료 비교해 낮은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
소급 지급돼?통상 보장결정 이후 급여가 적용돼. 지자체 처리 일정에 따라 다를 수 있어
가족과 따로 사는데 가족 재산도 보나?같은 가구원만 합산. 별도 가구라면 합산하지 않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