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지역화폐 추석 캐시백 정보를 한 번에 정리했고 9월엔 여러 지자체가 캐시백 상향·상품권 할인 발행을 병행해서 하니깐 핵심만 표로 확인하고 특히 마지막에 공식 확인 링크도 넣었으니깐 참고해서 보면 도움이 될거야!
지역별 요약!
- 서울: 서울사랑상품권을 9월 초·중 5% 할인 발행. 자치구별 시간 분산 판매.
- 인천: 인천 e음카드 캐시백 10%로 상향(일부 군은 15%).
- 부산: 동백전 9~10월 최대 13% 캐시백 확대.
- 대전: 대전사랑카드 9월부터 캐시백 13% 확대.
- 제주: 탐나는전 9월부터 포인트 적립 13% 적용(월 한도 안내 있음).
- 강원: 시·군별 상향 공지(예: 동해 20%·속초 15% 등)처럼 추석 전후 확대 사례 다수.
한 줄 정리: “2025년 지역화폐 추석 캐시백 = 서울 상품권 5% + 주요 광역 캐시백 10~13%(강원 일부 20%) + 예산 소진 전 선착순”.
주요 지역 요약표 2025.9 기준
지역/브랜드 | 추석 캐시백·할인 | 기간/주요 조건 | 앱/확인 경로 |
---|---|---|---|
서울 서울사랑상품권 |
상품권 5% 할인 발행 | 9/3·4, 9/10·11 자치구별 분산 발행(추석 앞두고 2차례) | 서울페이플러스 앱 / 서울시 열린데이터·미디어허브 공지 |
인천 인천 e음카드 |
캐시백 10% (강화·옹진 15%) | 9/1부터 상향, 월 캐시백 한도·가맹점 요건 적용 | 인천e음 앱 / 시 보도자료·언론 공지 |
부산 동백전 |
9~10월 최대 13% 캐시백 | 요율·한도는 공지상 조건 적용,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가능 | 동백전 앱 / 부산일보 등 시 발표 |
대전 대전사랑카드 |
캐시백 13% | 9월부터 확대, 월 충전·사용 한도 표기 | 대전사랑카드 앱 / 연합뉴스·다음뉴스 |
제주 탐나는전 |
적립 13% | 9/1부터 상향, 월 70만원 한도·월 최대 적립 9만1천원 | 탐나는전 앱 / 도청·지역언론 공지 |
강원 시·군 지역사랑상품권 |
시·군별 상향(예: 동해 20%·속초 15%) | 추석 전후 확대, 조례·시군 공지에 따름 | 각 시·군 홈페이지·공지 |
경기 경기지역화폐 |
시·군별 공지형(추석 특별 인센티브는 개별 발표) | 상시 인센티브 + 명절 한시 상향 가능(지자체 예산에 따름) | 경기지역화폐(지머니) |
※ 위 표는 2025년 지역화폐 추석 캐시백의 공식 발표를 요약한 것으로, 지자체·예산에 따라 요율·한도·기간이 달라질 수 있어.
앱·이용 방법 한 번에 보기
- 앱 설치: 서울은 서울페이플러스, 인천은 e음, 부산은 동백전, 제주 탐나는전 등 해당 지역 앱 설치.
- 본인인증·계좌연결: 앱 지침대로 계좌 연결 후 충전/결제 세팅.
- 요율·한도 확인: 캐시백(적립) %, 1일·월 한도, 가맹점 조건(연 매출 기준)을 먼저 확인.
- 결제: 오프라인 가맹점 카드/QR 결제 또는 모바일상품권 결제.
- 적립·환급 확인: 앱 알림으로 캐시백 적립·환급일 확인(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가능).
팁: 인기 시간대(오전 9~10시 오픈) 동시 접속이 몰려. 자치구 분산 시간·평일 오전을 노리면 성공률이 높아.
한도·주의사항 체크
- 예산 소진: 2025년 지역화폐 추석 캐시백은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어.
- 사용처 제한: 대형마트·백화점·유흥업소 등은 대부분 제외. 각 지자체 가맹점 기준 확인.
- 지역 제한: 해당 지자체 내 가맹점에서만 혜택 적용.
- 중복 혜택: 프랜차이즈 자체 행사와 중복 시 앱 고지 기준.
사칭 메시지 주의: 계좌/비밀번호 요청은 100% 피싱. 공식 앱·공지·보도자료만 참고.
Q&A
- Q. 상품권 ‘할인’과 카드 ‘캐시백’ 차이?
— 할인은 구매 시 액면가보다 저렴하게 사고, 캐시백은 결제 후 일정 %를 포인트/페이백으로 돌려받는 방식이야. - Q. 타 지역 가맹점에서도 되나?
— 아니야. 발행 지자체 내 가맹점에서만 적용(일부 제휴 제외). - Q. 9월 이후도 유지?
— 지역·예산에 따라 10월까지 연장되기도 해(예: 부산 동백전). 공지 재확인은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