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비는 주 1회 피하주사로 쓰는 세마글루티드(GLP-1 수용체 작용제)기반 비만 치료제야. 최근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져서 국내 허가 범위와 글로벌 근거를 분리해서 정리했고 특히 루머 관련된 글은 제외했으니 꼼꼼히 읽어보면 도움이 될거야!
요점 파악을 위한 요약!
- 무엇?: 위고비(세마글루티드 2.4mg 주 1회)는 식욕 조절·포만감 증가를 통해 체중감량·유지에 쓰이는 전문의약품.
-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 2023년 4월 27일 허가, 2024년 10월 국내 출시. 성인 BMI 30 이상 또는 BMI 27 이상 + 체중 관련 질환에서 체중관리 목적 처방(의사 판단).
- 글로벌: 미국 FDA는 체중관리 외에 심혈관 위험 감소(기저 심혈관질환 동반 성인 비만/과체중)와 만 12세 이상 소아·청소년 비만 적응증을 추가했어(국가별 허가 범위 상이).
한 줄 정리: “위고비는 생활습관개선과 병용하는 주 1회 주사 치료. 적응증·용량은 나라·환자 상태에 따라 달라져서 의료진 지시가 기본.”
국내 허가·출시 타임라인
일자 | 구분 | 내용 |
---|---|---|
2023-04-27 | 식약처 허가 | 성인 비만/과체중(동반질환) 체중관리 목적 허가 |
2024-10-15 전후 | 국내 출시 | 국내 유통 개시(전문의 처방 필요) |
상세 적응증·급여 여부·공급상황은 병·의원/약국 공지 또는 제조사 공지를 확인.
효과 생활습관개선과 병용
연구/대상 | 기간·용량 | 주요 결과 | 비고 |
---|---|---|---|
STEP-1(성인 과체중·비만) | 68주, 2.4mg 주 1회 | 체중 −14.9% (위고비) vs −2.4% (위약) 평균 변화 | 식이·운동 지도 병행 |
SELECT(성인 비만/과체중 + 기저 CVD) | 최대 208주, 2.4mg | 주요 심혈관 사건(MACE) 위험 상대 20% 감소 | FDA가 CV 위험 감소 적응증에 반영 |
포인트: 위고비는 체중감량과 더불어 대사·심혈관 위험 지표 개선 근거가 축적 중. 다만 적응증 표기는 국가별 허가에 따름.
용법·용량(라벨 요약)
- 투여: 주 1회, 같은 요일에 피하주사(복부·허벅지·상완). 식사와 무관.
- 용량 증량 스케줄(의료진 판단하에 조정): 0.25mg(1–4주) → 0.5mg(5–8주) → 1.0mg(9–12주) → 1.7mg(13–16주) → 유지 2.4mg(권장) 또는 1.7mg.
- 생활요법: 열량 감소 식단 + 신체활동 증가와 반드시 병용.
개별 환자 상태·내약성에 따라 증량 지연·유지용량 변경 가능. 자가 임의 증량/중단 금지(의료진 지시 필수).
부작용·주의사항
항목 | 내용 | 비고 |
---|---|---|
금기 | 개인/가족력 갑상선 수질암(MTC) 또는 MEN2 증후군, 세마글루티드 과민반응 | 동물자료 기반 경고, 사람에서 인과 미확정 |
흔한 이상반응 | 오심·구토·설사·변비·복통 등 위장관 증상(용량↑ 시 흔함), 주사부위 반응 | 증상 심하면 증량 지연/용량 조정 |
경고 | 췌장염 추정 증상(지속적 심한 상복부 통증), 담석/담낭염 위험 증가, 탈수→신장기능 악화, 심박수 증가 | 증상 시 즉시 진료 |
당뇨 동반 | 인슐린/설폰요소제 병용 시 저혈당 위험↑, 당뇨망막병증 악화 보고 | 용량·혈당·안저 모니터링 |
임신/수유 | 임신 인지 시 중단 권고. 임신 계획은 보통 중단 후 2개월 경과 권장 | 라벨 주의사항 준수 |
병용 금지 | 다른 형태의 세마글루티드와 병용 금지(중복 투여 피하기) | 성분 중복 주의 |
이 정보는 라벨 요약이야. 개인 질환/약물에 따라 위험과 이득이 달라지므로 처방 전 의료진 상담이 필수.
오젬픽과 무엇이 다를까?
- 성분: 둘 다 세마글루티드. 위고비는 체중관리(그리고 일부 국가에서 CV 위험감소) 용도, 오젬픽은 당뇨병 치료 용도로 허가.
- 용량: 위고비는 최대 2.4mg(체중관리 임상 용량), 오젬픽은 보통 0.5–2.0mg 범위(국가별 상이).
- 대체성: 적응증·펜·용량 체계가 달라 상호 대체/혼용 불가. 의료진 판단 없이 변경 X.
처방 전 체크리스트
- BMI, 동반질환(고혈압·지질·수면무호흡 등)·과거 체중관리 이력 확인
- 금기: MTC/MEN2 가족력, 과민반응 병력
- 기저질환: 췌장·담낭 질환력, 당뇨망막병증, 신장기능
- 복용/주사 중인 약물: 인슐린/설폰요소제, 기타 GLP-1 제제 중복 여부
- 임신·수유·임신 계획 여부
- 생활습관 병행 계획(식이·활동), 추적 외래·모니터링 동의
체중감량은 약물 + 생활습관의 장기전이야. 위고비는 도구이고, 설계는 의료진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