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건강검진 예약을 처음 하든 예전에 놓쳤든 방법은 간단해. 국가건강검진 대상인지 먼저 확인하고, 문진표 작성 → 검진기관 선택 → 일정 확정 순서로 진행하면 끝.
시간이 없다만 핵심만 읽기
- 대상 조회: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iN)에서 본인 건강검진 대상조회 → 올해 대상이면 바로 건강검진 예약 진행.
- 주기: 직장 비사무직은 매년, 사무직은 2년에 한 번. 지역가입자·피부양자(20세 이상)는 2년에 한 번.
- 방법: 온라인(대상조회 → 문진표 → 검진기관 찾기) 또는 전화/병원 앱으로 건강검진 예약 가능.
- 암검진: 위·대장·간·유방·자궁경부·폐 등은 연령·위험도에 따라 별도 주기 운영(아래 표 참고).
핵심만 기억해도 돼: “건강검진 예약은 대상조회부터! 문진표 미리 작성하고, 집·직장 근처 검진기관으로 일정 잡기”.
누가 대상일까?
구분 | 대상 | 주기 | 메모 |
---|---|---|---|
직장가입자(비사무직) | 모든 비사무직 근로자 | 매년 | 사업장 통보 + 개인 조회 가능 |
직장가입자(사무직) | 사무직 근로자 | 2년에 1회 | 출생연도(홀·짝) 기준으로 격년 실시 |
지역가입자 세대주 | 지역세대주(만 20세 이상 세대원 포함) | 2년에 1회 | 해당 연도 대상자에게 안내 |
직장 피부양자·세대원 | 만 20세 이상 | 2년에 1회 | 홀·짝 출생연도 기준 운영 |
의료급여 수급권자 | 만 19–64세 | 2년에 1회 | 만 66세 이상은 생애전환기 검진 |
※ 근거: 국민건강보험법 제52조 및 공단 안내. 실제 대상·주기는 개인 자격 변동, 이전 미수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건강검진 예약 방법(온라인·전화)
- 건강검진 대상조회 접속 → 본인인증 후 올해 대상 확인.
- 문진표/평가도구 작성을 온라인으로 먼저 완료(현장 대기시간 단축).
- 검진기관 찾기 메뉴에서 집·회사 근처 지정기관 검색 → 건강검진 예약 (전화 or 웹/앱).
- 받을 검진 항목(일반검진 + 해당 시 암검진)을 확인하고, 일정 확정 문자 저장.
- 검진 전날 준비(공복, 복용약 확인 등) → 당일 신분증 지참.
팁: 토요일 오전 운영 기관이 있어. 출근 전 아침 타임도 인기. 건강검진 예약은 2–3주 전 미리 잡으면 선택지가 넓어.
무엇을 검사할까? 일반·암 검진 항목
구분 | 주요 항목 | 주기/연령(요약) |
---|---|---|
일반건강검진 | 문진, 신체계측, 혈압, 시력·청력, 소변, 혈액(공복혈당, 빈혈, 간·신장 등), 흉부 X-ray, 구강검진 | 비사무직: 매년 / 사무직·지역·피부양자(20세 이상): 2년에 1회 |
위암 | 위내시경 등 | 만 40세 이상, 2년마다 |
대장암 | 분변잠혈검사(양성 시 대장내시경) | 만 50세 이상, 1년마다 |
간암(고위험군) | 간초음파 + 혈청 AFP | 만 40세 이상 고위험군, 6개월마다 |
유방암 | 유방촬영 | 만 40세 이상 여성, 2년마다 |
자궁경부암 | Pap 검사 | 만 20세 이상 여성, 2년마다 |
폐암(고위험군) | 저선량 흉부 CT | 만 54–74세 고위험군, 2년마다 |
※ 암검진 대상·주기는 법정 기준에 따르며, 고위험군 요건(흡연력, 간질환 등)에 따라 달라져.
검진 전·후 체크리스트
- 예약 ① 대상조회 → 문진표 → 기관 찾기까지 한 번에 끝내기(모바일 가능).
- 예약 ② 복용약(항응고제 등)·기저질환은 기관에 미리 알리기.
- 전날 8–12시간 금식(기관 안내 우선), 과음·격한 운동 피하기.
- 당일 신분증, 마스크, 예약 문자 지참. 위내시경 등 추가 검사 시 보호자 동행이 도움.
- 결과 건강iN에서 결과지·확인서 발급 가능(운전면허 적성검사용 등).
유의: 특정 연도에 못 받았어도 “전년도 미수검자 추가신청”으로 건강검진 예약이 가능한 경우가 있어. 온라인 메뉴에서 확인해봐.
FAQ (궁금한 내용만 눌러서 확인)
올해 대상인지 빠르게 확인하려면?
건강iN → 건강검진 대상조회 메뉴에서 본인인증 후 바로 확인 가능. 사업장 직장인은 회사로도 통보돼.
직장인이 부서 이동/입사 초기인데, 지금 예약해도 돼?
신규 입사자는 출생연도와 관계없이 당해연도 검진이 가능한 예가 많아. 다만 사업장·공단 안내에 따르는 게 정확해.
암검진은 꼭 같이 해야 해?
연령·위험도에 맞으면 같은 날 진행 가능. 위내시경 등은 사전 금식·수면 여부를 기관과 상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