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가을 가장 큰 변화 중 하나가 바로 폐렴구균 PCV20 도입이야. 2025년 10월 1일부터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에 새로 포함되면서, 생후 2개월 이상 소아·청소년이 더 넓은 혈청형을 커버하는 백신을 무료로 맞게 됐어. 아래에 접종 시작일, 접종 대상, 접종 일정, 지정의료기관 찾는 법까지 정말 필요한 정보만 모아봤어. 끝까지 보면 ‘예약-방문-접종’ 순서가 깔끔하게 정리될 거야.
핵심만 먼저
- 도입: 2025년 10월 1일 폐렴구균 PCV20 도입 →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에 무료 포함
- 범위: 기존 PCV15에 더해 5개 혈청형 추가(총 20가) → 침습성 감염 예방 범위 확대
- 접종 시작일: 10월 1일부터 전국 위탁 지정의료기관·보건소에서 시행
- 접종 일정(건강한 소아 표준): 2·4·6개월 + 12~15개월 추가 1회(총 4회)
- 교차: “PCV13 PCV20 교차접종” 가능(PCV13→PCV20), PCV15 시작자는 같은 백신으로 마무리 권장
- 확대: 고위험군 지원 연령 “고위험군 18세 확대”
왜 바뀌었을까? (짧고 명확하게)
폐렴구균 PCV20 도입은 더 많은 혈청형을 한 번에 막기 위해서야. 기존 PCV13·PCV15로도 효과가 컸지만,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에 PCV20이 추가되면서 예방 범위가 넓어졌지. 덕분에 소아의 중이염·폐렴·수막염 같은 침습성 감염을 더 폭넓게 예방할 수 있어.
접종 시작일·접종 일정, 달력처럼 보기
날짜 헷갈리면 아래 표만 저장해도 충분해. 특히 첫 접종은 생후 2개월이 기본이야.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표준은 2·4·6개월 3회 + 12~15개월 추가 1회(총 4회).
첫 접종 시 월령 | 기초 접종 | 추가 접종 | 비고 |
---|---|---|---|
2~6개월 | 2·4·6개월 (총 3회) | 12~15개월 1회 | 접종 일정 표준(총 4회) |
7~11개월 | 2회(최소 간격 준수) | 12~15개월 1회 | 늦게 시작해도 보완 가능 |
12~23개월 | 2회 | - | 의료진과 간격 확인 |
24~59개월 | 1회 | - | 미접종 아동 보완용 |
최소 접종 간격(특히 1세 미만 4주·그 이후 8주)은 꼭 지켜야 해. 이 부분은 접종 일정의 기본 안전장치라고 생각하면 돼.
누가 맞나? 무엇이 달라졌나?
- 접종 대상: 생후 2개월 이상 소아·청소년(주소지 무관)
- 교차접종: “PCV13 PCV20 교차접종” 허용(PCV13로 시작 → PCV20 전환 가능)
- 동일 백신 원칙: PCV15로 시작했다면 PCV15로 마무리 권장
- 고위험군: 면역저하·만성질환 등은 맞는 나이·기존 접종력에 따라 스케줄 차이(상담 필수)
- 지원 확대: “고위험군 18세 확대”로 더 많은 청소년이 혜택
한 줄로 요약하면, 폐렴구균 PCV20 도입으로 선택지가 넓어졌고,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안에서 기존 스케줄을 유지하되 교차 전환이 쉬워졌다는 점이 핵심이야.
지정의료기관, 이렇게 찾자
어디서 맞을지 막막하면 예방접종도우미(nip.kdca.go.kr)가 가장 빠르다. 메뉴에서 ‘예방접종관리 → 지정의료기관 찾기’로 들어가면 우리 동네 위탁기관이 바로 나와. 기관마다 예약 방식이 달라서 전화 한 통으로 접종 시작일·잔여 물량·운영시간을 확인해 두면 헛걸음이 줄어.
- 예방접종도우미 접속
- 예방접종관리 → 지정의료기관 찾기
- 기관 선택 후 예약·방문(신분증·아동수첩 등 준비)
참고로 어린이 국가예방접종은 주소지와 상관없이 전국 위탁기관·보건소 이용이 가능해. 접종 일정 초반엔 붐빌 수 있으니, 가능하면 평일 오전/초저녁대 분산 방문도 좋아.
FAQ (필요한 답변만 ♥눌러서 보세요)
♥PCV20이 정확히 언제부터 무료야?
접종 시작일은 2025년 10월 1일. 그날부터 지정의료기관·보건소에서 시행.
♥PCV13으로 시작했는데 바꿔도 돼?
가능해. “PCV13 PCV20 교차접종” 허용(의료진과 간격 확인 권장).
♥PCV15로 시작했으면?
원칙적으로 같은 백신(PCV15)으로 마무리 권장.
♥우리 아이가 고위험군이면 무엇이 달라져?
스케줄이 다를 수 있어. 게다가 “고위험군 18세 확대”로 대상 폭이 넓어졌으니, 담당의와 개인별 일정을 잡자.
♥어디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해?
질병관리청 보도자료와 예방접종도우미가 기준. 병·의원 안내는 이를 바탕으로 운영돼.